[338호 동교동 삼거리에서]

‘사회적 경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폐해인 사회적 불평등과 빈부격차, 생태계 파괴 등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일종의 ‘대안 경제’ 패러다임입니다. 협동성(상호부조), 공공성(공적이익 추구), 공동체성(지역/마을 중심)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경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윤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시장경제와 달리, 사회적 경제는 나도 잘되고 사회와 공동체에도 기여하는 경제 활동을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사회적 경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공정무역, 협동조합 등이 있습니다. 

더러 ‘사회적’(social)이라는 수식어를 ‘사회주의’(Socialism)로 뒤바꾸어 공격하는 식으로 무지를 드러내거나 의도적 왜곡을 시도하는 이들이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사회주의 경제와 궤를 달리하는 사회적 경제는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오래 전부터 자리 잡아 왔습니다.

1950년대 제조업의 중심지였던 미국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가 경제 동력 저하로 슬럼화 위기에 처하자, 지역 활동가와 주민들이 협동조합 만들기 운동을 전개하여 일자리 확대를 통한 도시 재생을 이뤄냈습니다. 캐나다 퀘벡 주도 1990년대 초반 경제 위기로 실업률이 14%로 치솟았을 때, 사회적 경제를 시작하여 현재는 퀘벡 주 전체 인구(약 800만 명)보다 협동조합 조합원 수(약 880만 명)가 더 많습니다. 한국은 어떨까요? 고용노동부의 <2015년 사회적기업 성과분석>에 따르면, 사회적기업 고용 인원은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시행된 2007년 2539명에서 2015년 3만4220명으로 14% 증가했습니다. 고용 인원의 약 62%가 고령자와 장애인, 저소득자 등 사회 취약계층이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물론 한국의 사회적 경제 고용 비중은 2015년 기준 전체 고용의 1.4% 수준으로, 유럽연합 6.5%, 프랑스 9%, 벨기에 10.3% 등에 비해 한참 미약한 수준입니다. (기획재정부 블로그 <경제ⓔ야기> 참조)

그럼에도 이처럼 ‘더불어 사는 경제’를 지향하는 사회적 경제와 교회가 만나는 접점은 없는지, 교회가 사회적 경제 주체로서 지역 공동체와 사회를 살리는 일에 참여할 방법은 없는지, 실제로 그런 사례가 있는지, 여러 질문을 품고 새해 첫 커버스토리를 꾸려냈습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연재도 있습니다. 지난 해 ‘한 인문주의자의 시선’으로 주목을 받은 역사학자 최종원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교수가 올해에는 ‘사회사 관점으로 읽는 기독교 공의회 역사’를 지상 강연 형식으로 들려드립니다. 시카고 신학교에서 바울 신학을 공부한 한수현 박사의 ‘제국과 하나님 나라’, 최경환 에라스무스 연구원의 ‘신학서 읽는 네 가지 시선’과 세 분의 필자가 돌아가며 쓰는 ‘평화를 살다’에도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