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6호 이웃 곁으로 이웃 속으로]


‘떡볶이 프로젝트’의 출범(?)
지난 4월, 종로의 한 카페에서 활동가 세 명이 만났습니다. 코로나 문제로 온 사회가 힘들어하고 있는데, 활동가들이 무언가라도 기획하자며 모인 것이었지요. 각자의 의중은 조금씩 달랐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누군가는 코로나19로 인해 힘들어하는 프리랜서 동료를 보면서 당장 도움을 주고 싶다며 의지를 불태웠습니다. 하지만 서사를 지나치게 부여하는 것을 어색해하는 저로서는, 그러한 이유가 동력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불안전한 노동시장 문제는 고용보험 개선 등 다른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보기에, 우리 프로젝트가 문제의 해결책을 왜곡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는 위선적으로 느껴질 수 있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럼에도 세상의 모든 문제를 구조와 시스템으로만 풀어낼 수는 없기에, 지금의 모임이 나름의 역할을 해낼 수는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그 경계를 잘 설정하는 것이 저희 세 활동가에게는 가장 큰 숙제였습니다. 프로젝트 이름으로 ‘떡볶이’를 강력하게 밀었던 이유도, 의미 부여가 과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담겼기 때문입니다. 그럼 잠시, ‘갑자기 통장에 떡볶이가 입금됐다’(이하 떡볶이 프로젝트)는 이름의 저희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떡볶이 프로젝트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활동가를 후원하는 운동입니다. 저를 포함한 청년들이 좋아하고 평소에 자주 먹을 수 있는 떡볶이를 사먹을 수 있는 정도의 금액이라도 지원해보자는 의미가 담겼습니다.

구조는 아주 단순합니다. 청년 활동가를 조건 없이 후원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설하고, 후원이 필요한 사람들을 모집합니다. 신청자를 제한하는 자격 조건 따위는 없습니다. 기부받은 기금의 총액을 신청자의 수만큼 n분의 1로 나눠서 지급하면 프로젝트가 끝납니다. 운영진은 규모 있는 단체가 아닌, 딱 세 명의 활동가로 구성합니다. 그렇게 어찌어찌 두 시간 정도 이야기하다 보니 떡볶이 프로젝트가 뚝딱 출범하게 되었습니다.

떡볶이 프로젝트는 운이 좋게도 주변에 많이 알려지면서, 메이저 언론에도 보도되었습니다. 당시 인터뷰는 자연스럽게 코로나 국면에 집중하다 보니, 현재의 상황 인식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런데 저는 그럴싸한 대답을 할 수 없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코로나 시대의 거대한 문제를 지적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아니었을 뿐더러,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세상이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확 뒤집어질 것 같진 않았기 때문입니다.

재난지원금이든 비대면 관계맺기든, 그리고 떡볶이 프로젝트든, 코로나가 결정적인 계기였던 것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코로나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유사한 고민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사회가 그동안 조금씩 다뤄온 영역이거나, 아직 수면 위로 올라오지 못했지만 언젠가는 주요하게 논의해야만 하는 이슈들이, 예상보다는 빠르게 우리 사회의 과제로 던져졌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돌이켜보면, 조금 일찍 바뀌었으면 좋았을 일들이 요새 많이 보입니다. 예를 들면 비대면 시대가 강조되면서, 거창한 행사가 온라인으로 소소하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꼭 필요할 것 같았던 사업이 축소, 취소되어도 조직은 굴러간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지요. 만나서 하지 않아도 집중이 가능한 회의가 있음이 확인되면서, 이동약자들도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눈치 안 보며 논의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