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호 민통선 평화 특강]

   
▲ 한국 미국 독일 3개국 청소년들이 한 자리에 모인, 국경선평화학교의 2018 국제청소년평화교육 캠프에서 'DMZ평화도보순례' 출정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국경선평화학교 제공)

평화교육 무용론
평화는 교육으로 실현 가능한 일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회의론이 우세했습니다. 왜냐하면 폭력은 인간 본성에 뿌리내린 것이기에, 교육으로 그 본성을 바꿀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교육으로 폭력 본능을 어느 정도 순화할 수는 있어도 근본적으로 바꾸기는 어렵다는 주장이 우세했습니다. 이런 회의론이 우세한 까닭에 인간은 숙명적으로 전쟁과 폭력을 피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므로 최선의 길은 전쟁을 이길 수 있는 강력한 군사력을 갖는 것이고 이를 위해 쓰는 막대한 비용은 정당화되었습니다. 누구도 문제제기를 할 수 없었습니다. 폭력이 난무한 사회 상황을 고치려는 노력도 소극적이었습니다. 평화교육은 발붙일 자리가 없었습니다. 남들보다 더 강하고, 더 큰 힘을 가져야 한다는 교육이 장려되었습니다.

국가적으로도 평화는 힘이 있어야 지킬 수 있다는 안보평화론이 지배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같이 주변 강대국들로부터 수없이 많은 침략과 고통을 당한 나라 사람들에게는 강한 군사력을 가져야 평화롭게 살 수 있다는 확신이 종교적 믿음 이상으로 강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집단적 생존 욕구에 반하는 평화교육은 비난 받았습니다. 학교에서는 평화를 교육 과목으로 둘 수 없었습니다. 대학에서도 평화를 가르치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평화는 교육 활동에서 관심 밖의 일로 밀려났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분단 시대 70여 년 동안 대한민국의 집단의식은 평화교육을 거부했습니다. 치열한 생존경쟁의 사회에서 ‘이기는 교육’ ‘이기는 법을 가르치는 교육’만이 권장되었습니다.

국제연합(UN) 교육과학문화 기구인 유네스코(UNESCO)는 회원 국가들에게 평화교육 운동을 전개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를 실행하는 국가는 많지 않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도 아직 학교교육에서 평화교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해지자 특별활동으로 갈등 해결 평화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시작했지만 아직 활발한 것은 아닙니다. 남북한 분단과 갈등이란 거대 폭력 상황에 놓여 있는 한반도의 평화로운 미래를 소망한다면 우리나라처럼 평화교육이 긴요한 곳도 없습니다. 유럽의 몇몇 국가들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진정한 의미의 세계평화를 향한 평화교육 운동이 발전될 적소는 한반도라고 저는 믿습니다. 한반도 평화교육의 모델이 나와서 전 세계 분쟁 지역에 평화의 길을 제시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