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연·민우회 등 32개 단체 성명 발표…“인권·윤리문제 야기하는 배아 연구 재검토해야”
![]() | ||
| ▲ 32개 여성단체들이 석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과정에서 제기된 난자 관련 의혹에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뉴스앤조이 최소란 | ||
여성들은 “지금까지 황우석 교수 논란의 핵심은 논문의 조작과 배아줄기세포의 존재 여부, 원천기술의 보유 여부에 집중되었을 뿐 난자 사용과 관련한 문제는 부차적인 문제로 치부되어왔다”며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국익을 위해서라면 여성의 난자와 몸은 얼마든지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반인권적·비윤리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음성적인 난자 및 배아 관리 실태가 현재의 상황을 초래했기에 정부는 여성의 몸을 보호하고 난자와 배아 관리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엄격한 난자 관리 시스템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며 “체계적인 난자와 배아 관리를 위해 현행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을 개정하고 ‘인공수정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수많은 난자를 사용해야 하는 배아복제 연구는 근본적으로 인권·윤리문제를 피해갈 수 없기에 정부는 황우석 연구팀에 대한 연구 지원 철회뿐 아니라 배아복제 연구에 대한 정부 지원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며 “생명공학 연구는 국민적 공론의 장을 통해 그 방향을 새롭게 정립해가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유경희 대표(여성민우회)는 “우리나라는 불임클리닉이 100개가 넘을 정도로 체외 수정이 성행하는 '불임클리닉 왕국'이지만, 잔여 난자 및 배아의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불법 난자 매매 시장이 형성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김상희 대표(여성환경연대)는 황우석 교수팀에 1000명의 난자 기증 희망 의사를 전달한 난자기증 민간재단인 ‘연구ㆍ치료 목적 난자기증 지원모임’에 대해 “난자 채취에 관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돌출적으로 생겨난 단체이기에 우려되는 면이 많다”며 “민간재단이 아니라 국가나 공적 기관에서 만들어지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여성단체들은 “지난 2000년 ‘생명공학 감시를 위한 여성모임’을 시작으로 그동안 여성의 재생산권·건강권을 포함한 여성인권의 관점에서 인공수정과 난자 관리에 관한 규제 규정을 요구해왔으나, 시민사회의 공감대 부족, 연구용 난자의 인권에 대한 낮은 윤리적 인식 등으로 인해 지금의 사태가 초래됐다"면서도 “여성들이 적극적인 활동을 못한 것도 사실이다”고 인정했다. 향후 인공수정 관련 법률 제정 및 난자 채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과 후유증에 대한 정보를 여성들에게 알리는 홍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