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1호 표지]
“몸뚱이만 실속 없이 너무 비대해진 120여 세의 한국교회.”
김세윤 풀러신학교 신약학 교수의 글에서 읽은 이 짧은 구절이 지금도 머릿속을 맴돕니다. 이 땅에 하나님 나라의 샬롬을 실재화하는 일꾼(agent)이어야 마땅한 교회는 샬롬의 훼방꾼으로 추락한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기독교를 과시적으로 표방하는 정치인들, 관료들, 기업가들이 더 늘었으나 그들로 인하여 자유와 정의와 평화가 확대되고 사회가 맑아지고 따뜻해지기는커녕, 도리어 민주화가 심각히 후퇴하고, 부정부패가 더 악화되었으며, 불평등 구조가 고착되었고, 갈등이 증폭되어 기독교가 세상의 비난과 조롱의 대상이 되어버린 것이다.”(김세윤, 《한국교회, 개혁의 길을 묻다》 23쪽)
왜 이렇게 된 걸까요? 김 교수는 그 원인이 “신학적 빈곤”, 곧 “근본적으로 복음의 부분적 이해, 오해, 왜곡”에서 말미암는다고 지적합니다.
“현재 한국교회가 한국사회에서 하나님 나라의 샬롬을 실현하는 데 보이는 전반적인 무능함과 일부의 심각한 부패를 보면서, 이 부패와 무능의 한 근본 원인인 신학적 빈곤에 대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교회의 신학적 빈곤은 근본적으로 복음의 부분적 이해, 오해, 왜곡에서 나타난다.”(같은 책, 18쪽)
하여 이번호에서는 한국교회가 ‘샬롬의 일꾼’ 노릇을 제대로 못하는 원인을 ‘복음의 공공성’을 통해 톺아보았습니다.
복음과상황
goscon@gosco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