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호 시사 꼬리잡기]
주님의 영이 내게 내리셨다. 주님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셔서, 가난한 사람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게 하셨다. 주님께서 나를 보내셔서, 포로 된 사람들에게 해방을 선포하고, 눈먼 사람들에게 눈 뜸을 선포하고, 억눌린 사람들을 풀어 주고, 주님의 은혜의 해를 선포하게 하셨다.(눅 4:18-19, 새번역)
조지 오글 선교사는 이 말씀 위에 인천산선의 사역을 구축했다. 그는 농촌에서 도시로 올라와 주변부에서 아슬아슬하게 살아가는 도시 노동자들과 빈민들에게 주목했는데, ‘약한 것을 강하게’라는 말로 인천산선의 사역을 요약했다. 그가 1961년 9월 인천 화수동의 한 초가집에 ‘기독교도시산업선교회’라는 간판을 걸 때, 일대는 적지 않은 초가집이 띄엄띄엄 있었고, 그런 초가집을 이웃 삼아 작은 판잣집들이 지붕을 잇대어 촘촘히 이어졌다. 그 옆에 드문드문 기와집이 존재했으며, 그 너머로는 육중한 공장들이 병풍을 치듯 자리 잡았다.
이런 화수동 풍경은 당시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급격히 변화한 한국 사회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한 단면이었다. 화수동은 그야말로 도시화와 산업화를 압축해 보여주는 동네였다. 이곳에서 도시산업선교회를 시작한 이유는 산업화·도시화하는 세상 한 가운데에서 빛과 소금이 되는 교회를 지향하려 한 것이다.
인천도시산업선교회(이하 ‘인천산선’)를 설립한 미국인 선교사 조지 오글(George E. Ogle, 한국 이름 오명걸) 목사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기쁜 소식, 즉 ‘복음’이 도시화한 세계, 산업화한 세계에서 어떤 메시지로 전해져야 할지 고민했던 사람이다. 인천산선의 이름도 그런 고민의 흔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