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6호 그림책으로 우리의 안부를]

청각장애인과 경추 손상으로 가슴부터 아래쪽 모두가 마비된 사람이 레슬링 경기를 펼쳤습니다. 청각장애인은 상대의 장애와 맞추기 위해 양손을 뒤로 돌려 묶고, 다리와 발목도 벨트로 묶은 채 링에 올랐습니다. 경기가 시작되자, 상대보다 비교적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청각장애인은 묶인 발을 위로 들었다가 아래로 찍으면서 공격하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누가 먼저 시작했는지 모르지만 두 선수는 어느샌가 서로 이마를 부딪치며 쿵. 쿵. 쿵. 쾅. 쾅. 쾅. 박치기 경쟁을 했습니다. 뼈와 뼈가 부딪치는 묵직한 통증이 오가고, 서로의 이마가 부어오르고, 콧등이 찢어지고 피가 흐르는 경기, 무려 8분 19초 동안 이뤄진 시합이었습니다. 한순간 정신을 잃었다가 눈을 뜬 청각장애인은 경기에서 진 것을 알고 의사의 처치를 받다가 맞서 싸운 상대의 평온한 미소를 담기 위해 사진을 찍었습니다. 시합 때는 한마디 말도 오가지 않았지만, 수십 시간을 대화하며 말을 전하는 것보다 깊은 것이 마음에 닿았습니다. 아무 말 없이 오직 몸을 통해서, 몸만으로 두 사람이 서로에게 전하는 ‘목소리’의 농밀한 대화였습니다. 사이토 하루미치가 쓴 《목소리 순례》에 나오는 한 장면입니다. 저자는 두 살 때 청각장애를 진단받은 후, 바로 보청기를 끼고 혹독한 발음 훈련을 거듭하며 듣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했지만 오히려 타인과의 관계가 멀어짐을 확인하고 농학교에 진학해서 자신만의 목소리를 찾으며 사진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가 장애인 프로레슬링에 참가해서 경험한 이야기를 전해주는 이 장면을 통해, 온갖 말이 범람하는 세상에서 진짜 전해지는 말의 무게가 주는 뻐근함을 몸으로 느끼며, 말하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말의 고요한 세계를 다녀온 것 같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