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3호 수도회, 길을 묻다]
수도사들은 그리스도와 세상을 위해 모든 것을 버렸다. 물질과 성적 욕구, 세속의 꿈을 내려놓았다. 가정을 이루고 자녀를 양육하여 세대를 잇는 일이 불가능한 독신 공동체라는 점에서 그들은 중성인이다. 그러니 굳이 여성들의 수도회만 따로 떼어 논의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여성 수도회, 즉 수녀원은 복잡한 성격을 지닌다. 세속의 가부장제 질서를 피해 자신들만의 공동체를 이뤘다는 데서 독립성이 있다. 수녀원은 전통적인 성 역할을 넘어선 활동을 할 수 있는 여성들의 공간이었다. 중세에 탁월한 업적으로 이름을 남긴 여성 대다수가 수도원 출신이었다. 하지만 수녀원이라고 해서 남성 사제 중심 위계를 벗어날 수는 없었다. 그리스도를 위해 세속의 삶을 등졌다는 동기는 같지만 그 공간에서조차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존재했다. 미사 등을 드리려면 반드시 남성 사제가 필요했다. 나아가 수녀원의 탄생은 악의 근원을 세상과 단절시켜야 한다는 여성 혐오의 부산물이기도 했다. 여성의 자발적 참여와 강제적 은둔이라는 두 극단의 모습이 존재하는 수녀원은 기성교회나 남성 수도회와는 다른 독특한 기여를 했다. 지금까지 수도회는 남성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사회 구성원 중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의 이야기를 한 번에 그려내는 일은 공평하지 않다는 전제를 깔고, 수녀 공동체 태동기부터 중세 말까지의 흐름을 몇몇 인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짚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