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8호 그 사람의 설교 노트]

바로 그 때에 몇몇 바리새파 사람들이 다가와서 예수께 말하였다. “여기에서 떠나가십시오. 헤롯 왕이 당신을 죽이고자 합니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가서, 그 여우에게 전하기를 ‘보아라, 오늘과 내일은 내가 귀신을 내쫓고 병을 고칠 것이요, 사흘째 되는 날에는 내 일을 끝낸다’ 하여라. 그러나 오늘도 내일도 그 다음 날도, 나는 내 길을 가야 하겠다. 예언자가 예루살렘이 아닌 다른 곳에서는 죽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예언자들을 죽이고, 네게 파송된 사람들을 돌로 치는구나! 암탉이 제 새끼를 날개 아래에 품듯이, 내가 몇 번이나 네 자녀를 모아 품으려 하였더냐! 그러나 너희는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 보아라, 너희의 집은 버림을 받을 것이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말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은 복되시다’ 할 그 때가 오기까지, 너희는 나를 다시는 보지 못할 것이다.” (눅 13:31-35, 이하 새번역)

아름다운 전통, 독이 되는 전통

1세기 원시 공동체로부터 시작된 교회는 지난 2,000년 동안 수많은 전통을 만들어 왔습니다. 그중 지금까지 교회가 아름답게 이어가고 있는 전통 중 하나는 절기입니다. 특히 부활절과 성탄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과 죽으심, 다시 사심을 기리는 매우 중요한 절기로 거의 모든 교회가 지키고 있습니다. 성탄절은 언제나 12월 25일인데, 부활절은 해마다 날짜가 바뀝니다. 처음 절기를 정한 때의 달력이 지금과 달랐기 때문입니다. 서력 기원후 325년, 로마제국의 한 지방인 니케아(지금의 튀르키예 이즈니크)에서 세계 교회 지도자들의 회의를 엽니다. 주교들은 춘분 이후 보름달이 뜬 다음 첫 주일에 부활절을 기념하기로 협의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사순절 기간입니다. 사순절은 부활절 이전 주일을 뺀 40일 동안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리는 절기입니다. 주일이 사순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부활을 기념하는 축제(예배)의 날이기에 그렇습니다. 

고대교회로부터 이어온 유산은 오늘 우리들의 신앙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교회는 성경의 정신 위에 세워졌고, 그 정신이 전통으로 발현되었습니다. 그렇기에 교회는 전통을 아름답게 계승해야 하고, 그 정신을 교회의 밑절미에 두어야 합니다.

그러나 전통이 독이 되는 때도 있습니다. 전통이 누군가를 소외시키는 경우입니다. 만일 전통 때문에 주변부로 밀려나는 이가 생긴다면, 그 전통이 제 기능을 하고 있는지 즉시 돌아보아야 합니다. 이것이 개혁교회의 유산입니다. 전통을 존중하되, 언제나 비판적으로 숙고하고 성찰하며 동시대에 온당하게 발현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 개혁교회는 우리에게 이것을 유산으로 물려주었습니다.

오늘 본문에는 전통에 사로잡힌 집단이 나옵니다. 바로 바리새인들입니다. 그들은 율법 수호를 목숨처럼 여겼습니다. 그런데 율법의 정신이 아닌 조항에 집착했기에 그들이 세운 전통은 사람을 살리고 세우기보다 빼앗고 죽이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안식일 법이 좋은 예가 됩니다.

‘안식일’ 율법이 사람을 살리는 것이 되려면 재산이 많은 주인이 모든 식솔에게 참된 쉼을 제공해야 합니다. 구약성서 출애굽기 20장과 신명기 5장에 나오는 십계명의 안식일 법은 모든 사람이 아닌 식솔을 거느린 성인 남성을 향한 것입니다. 안식일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출애굽기 23:10-13을 보면 안식일에 사람과 가축이 온전히 안식하기 위해 가장이 쉬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유대 종교 지도자들은 이러한 율법이 ‘전통’으로 기능하고 있는 1세기 팔레스타인에서 그 정신을 완전히 왜곡해 버렸습니다. 목동의 존재가 대표적인 보기입니다. 목동은 안식일에 쉴 수 없는 직업이었습니다. “내일은 안식일이니 아무 노동도 해서는 안 된다, 밥도 지어서는 안 되니 하루 전날 미리 준비해놓은 것을 먹어야 한다”고 가르치면 안식일에 일거리가 없는 사람들은 그 말씀을 지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축을 돌봐야 하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식일에 새끼를 낳으면 받아야 하고, 먹을거리도 주어야 하고, 무리로부터 이탈한 양이나 염소를 찾아 나서는 ‘노동’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참 아이러니하게도 예수 당시에 목동들은 직업적인 죄인들이었습니다. 안식일을 제대로 지킬 수 없었기 때문에요. 그렇게 유대 종교 공동체는 ‘죄인’을 생산하는 기구로 전락했습니다. 전통을 아주 잘못 쓴 결과입니다.(눅 14:1-6 참고)

그들은 왜 예수에게 떠나라고 했나

오늘 본문은 그런 율법의 수호자 바리새인들이 예수께 ‘떠날 것’을 요청하는 내용입니다. 헤롯 왕이 예수를 죽이려 하고 있으니 도망가라는 말입니다. 어떤 주석에는 바리새인 중에 예수께 호감을 느끼고 있던 무리가 예수를 보호하려고 한 것이라고 해설하는데, 그 반대의 해석이 더 신빙성이 있습니다.

본문에 나오는 헤롯은 ‘헤롯 안디바’로 세례요한을 죽인 사람입니다. 그는 동생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와 결혼했기 때문에 요한에게 맹렬한 비판을 받았고 이에 그를 옥에 가두었습니다. 당시 세례요한은 팔레스타인의 인기 스타였습니다. 많은 민중이 그를 따랐고 그 세력이 만만치 않았습니다. 지역을 통치하는 헤롯 입장에서 큰 세력을 거느린 요한에게 사형을 내리는 것은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었을 겁니다. 아마 요한에게 지역을 떠나라고 여러 번 종용하지 않았을까? 상상력을 발휘해봅니다.

아메리히 다 카라바조의 〈세례요한의 목을 벰〉(1608, 세인트 존스 공동 성당)
아메리히 다 카라바조의 〈세례요한의 목을 벰〉(1608, 세인트 존스 공동 성당)

바로 그 때에 몇몇 바리새파 사람들이 다가와서 예수께 말하였다. “여기에서 떠나가십시오. 헤롯 왕이 당신을 죽이고자 합니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가서, 그 여우에게 전하기를 ‘보아라, 오늘과 내일은 내가 귀신을 내쫓고 병을 고칠 것이요, 사흘째 되는 날에는 내 일을 끝낸다’ 하여라. 그러나 오늘도 내일도 그 다음 날도, 나는 내 길을 가야 하겠다. 예언자가 예루살렘이 아닌 다른 곳에서는 죽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예언자들을 죽이고, 네게 파송된 사람들을 돌로 치는구나! 암탉이 제 새끼를 날개 아래에 품듯이, 내가 몇 번이나 네 자녀를 모아 품으려 하였더냐! 그러나 너희는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 보아라, 너희의 집은 버림을 받을 것이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말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은 복되시다’ 할 그 때가 오기까지, 너희는 나를 다시는 보지 못할 것이다.” (눅 13:31-35, 이하 새번역)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