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영화 <오마르>, <와즈다>를 보고
![]() | ||
한국 사회에서 ‘아랍’ 영화를 만난다는 것
오래전에 본, 개그콘서트의 <만수르>가 생각난다. 나중에 <억수르>로 바꾸었지만, 인도 북부지역풍의 옷을 입은 이들이 아랍을 배경으로 한 듯 이야기를 끌어갔다. 불편했다. 여전히 아랍 사회는 우리들에게 먼 나라 이야기였고, 억지 웃음거리의 소재였다.
아직도 많은 이들은 인도 배경의 <천일야화>를 아랍에서 기원한 이야기로 알고 있다. 아랍 관련 뉴스가 뜰 때만, 반짝 아랍권에 주목하곤 한다. 이슬람 선교를 말하는 현장에서는, 무슬림들은 그들의 종교심에(만) 집착하여 전 세계를 이슬람화하는 것에 전략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을 이슬람화하려는 전략을 진행 중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한다. 우리에게 아랍인은 먼 나라 이방인 같은 느낌이 가득하다.
이런 한국에서, 한국 영화관에서 아랍 영화를 마주하는 것은, 나에게는 색다른 경험이다. 아랍어 대사를 들으면서, 아랍 음악이 흘러나오는 스크린에서, 아랍어 대화를 마주하는 것도 반갑다. 올해 2월에 팔레스타인인의 삶을 다룬 영화 〈오마르〉를 보았다. 지난해 6월 중순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영화 〈와즈다〉를 만났다. 두 영화 모두, 잔잔하게 현실의 일상을 그려주었다. 이슬람 사회를 미화하거나 비난하려는 의도도, 무엇인가를 선동하려는 목적의식도 보이지 않는다. 그냥 영화를 보다보면, 아랍사회에서 일상적으로 접해오던 이들의 일상이 잔잔하게 다가온다. 그 일상이 누구에게는 고통스런 일상이고, 누구에게는 밋밋한 일상일 수 있을 것이다.
서구인이 말하는 아랍 세계, 이슬람, 그리고 무슬림과, 아랍인 스스로가 말하는 그들의 삶은 어떻게 같고 다른 걸까? 한 사회를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하여, 우리는 어떤 수고를 해야 하는 것일까? 이 글에서 전문적인 영화 비평을 하려는 건 아니다. 다만, 한국에 상영된 아랍 영화를 통해 아랍 사회를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지, 영화에 담겨 있는 아랍 사회와 문화에 대해 나누고 싶을 뿐이다. IS(이슬람 국가)의 잔혹성이 뉴스가 되고 있는 시점에, 나는, 왜, 아랍 영화를 말하려는 것일까? 그것은 괴물 같은 집단의 극단적 일탈 행동보다,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이들의 삶에 주목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