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호 예술, 구원을 묻다]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그는 새로운 피조물입니다. (고후 5:17, 새번역)
수천 가지 방식으로 예수님을 따르는 모든 이들의 [공통된] 소명은 우리 자신이 “새 창조[새로운 피조물]”로 살아가는 동시에 또한 새 창조의 대리자가 되는 것입니다. 여전히 불의와 부패가 가득한 세상에서 새 창조로 살아가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겠지요. 또한 우리는 마침내 올 하나님의 새로운 세상의 표지를 만들어내는 공동 창조자들이 되어야 합니다.1)
사도 바울은 예수님 안에 있는 우리가 새로운 피조물(kainē ktisis, new creation), 즉 하나님의 새 창조라고 선언합니다. 여전히 온갖 연약함에 휩싸여 살아가는 우리 자신을 볼 때마다 이 놀라운 선언을 인정하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인데요. 그럼에도 예수님의 부활을 믿고 그분 안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이 땅에 이미 시작된 하나님의 새 창조를 증언하는 이들임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동시에 우리는 새 창조를 위해 일하는 대리자로서 역할을 감당해야 합니다. 톰 라이트가 말하듯이, 우리는 마침내 임할 하나님의 새로운 세상을 가리키는 표지(signs)를 만드는 사람들이 되어야 합니다. 특히 “공동 창조자”라는 표현은 그것이 ‘함께’하는 일이자 ‘창조’하는 일임을 알려줍니다. 새 창조의 표지를 만드는 일의 공동체적·창조적 차원은 자연스럽게 새 창조와 교회 그리고 예술의 관계로 고개를 돌리게 합니다.
새 창조의 비전, 교회를 위한 처방전
그동안 개신교는 타락한 세상과 인간의 죄성을 강조하면서 개인의 구원과 경건에 초점을 맞추어 왔습니다. 이러한 복음의 개인주의적 이해는 자연스럽게 주변의 이웃과 사회, 창조세계 전체를 아우르는 복음의 우주적 차원이나 기독교의 포괄적 비전에는 눈을 가리게 했습니다. 베르카우어(G. C. Berkouwer)가 말하듯 “구원론적 자기중심성이 성경 이야기의 우주적 범위를 주변화”한 겁니다(《The Return of Christ》).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영광스럽고 선한 세상의 창조, 그리고 비록 타락했으나 동일한 창조세계 전체의 회복과 갱신,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위대한 하나님의 구속 드라마라는, 더 크고 온전한 그림 안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예술신학자 제레미 벡비(Jeremy Begbie)는 말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라는] 종교를 단순히 라이프스타일의 문제, 개인들의 개인적 선택의 문제로 축소시키고 싶어 한다. 그러나 피할 수 없는 사실은 기독교가 … 하나님과 인간, 우주 전체를 아우르는 실재에 대한 통합적 비전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성경에서 이 비전은 … 하나님의 첫 번째 “있으라!”로부터 새롭게 된 세상의 영광스러운 피날레에 이르는 하나의 거대한 서사시로 … 표현된다.2)
“하나님과 인간, 우주 전체를 아우르는 실재에 대한 통합적 비전” 안에서 성경을 읽을 때 교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상상만 해도 가슴이 뛰기 시작하는데요. 복음조차 우리 자신의 구원을 위한 수단으로 탈바꿈시킨 교회의 고질적인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리가 믿는 기독교가 단순히 개인의 죄 문제나 삶의 방식을 다루는 이야기에 그치지 않고, 온 우주의 창조에서부터 그 궁극적인 결말인 새 창조에 이르는 거대한 서사에 관한 것임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더 나아가 요한계시록 마지막에 나오는 새 예루살렘으로 표상되는 이 새 창조, 이사야가 말했던 ‘새 하늘과 새 땅’은 하나님의 새로운 세상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과 세상 문화가 완전히 제거되고 사라져버린 천상의 거룩한 영적 세계가 아님을 확인해줍니다. 하나님의 새 창조란 아픔과 고통, 죄와 눈물로 왜곡되었던 선한 창조세계가 정화되고 회복되어 지금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차원으로 완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새 창조의 종말론적 비전은 이분법적 세계관과 선민의식이라는 우월감에 빠진 교회의 왜곡된 세상 인식을 바로잡는 출발점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새 창조와 예술, 공명하는 낯선 아름다움
제레미 벡비가 디렉터를 맡고 있는 듀크대 신학과 예술 연구소(Duke Initiative in Theology and Arts)에서 2019년 개최한 새 창조와 예술에 관한 심포지엄 내용을 바탕으로 2022년 《새 창조의 예술》이 발간되었습니다. 이 책 서론에서 벡비는 새 창조라는 성경의 핵심 개념이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예술의 역할을 부각한다고 말합니다. 그는 성경이 드러내는 새 창조의 기이함과 생경함에 주목하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성경의 순전한 기이함… 종종 당혹스럽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이 의외성, 간단히 말해 성경이 증언하는 새 창조의 생경함은 너무 자주 완곡하게 바뀌거나 얼버무려진다.
정말로 우리는 성경의 의외성과 급진성을, 보다 다루기 쉬운 구원 공식이나 윤리 명제로 길들이고 싶어 할 때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복음의 기이하고 역설적인 진리는 그것이 가져오는 어려운 질문들에 쉽고 딱 떨어지는 정답을 찾는 대신, 그 질문들을 삶으로 살아내라고 우리를 초대합니다. 그러한 위험천만한 삶의 여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현 상태(status quo)에 편안하게 머무르려는 안일함과 무뎌진 의식을 일깨우는 일이 무엇보다 필요할 텐데요. 벡비 말대로, 우리는 바로 이 지점에서 예술의 역할에 주목하게 됩니다. 늘 익숙하고 당연하게 여겨지던 것에 새로운 주의력을 환기시키고 세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게 해주는 예술이 우리를 도와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경할 때가 많은 이 시대의 예술에서 낯선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눈을 연습하는 일은, 우리의 기대나 상식, 기존의 틀을 깰 때가 많은 하나님의 새 창조에 숨겨진 낯선 아름다움 역시 볼 수 있도록 우리의 눈을 열어줄 겁니다.
특히 암시적이고 은유적인 예술에는 보이는 것 너머를 일깨워주는 힘이 있는데요. 예술이 일깨우는 물질적 감각을 통해 보이지 않는 심오한 실재를 상상하고 경험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우리가 믿는 그리스도의 진리와 궁극적인 새 창조의 소망이 그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차원에만 남아있지 않고, 이 땅에 두 발을 견고하게 딛고 살아가는 우리 삶으로 증언되고 체현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그럼 이 시대의 예술 작품들이 드러내는 낯선 아름다움을 보는 눈을 연습하고, 여전히 어두운 세상에서 어떻게 우리 자신이 하나님의 새 창조이자 새 창조의 표지를 만드는 사람들로서 살아갈 수 있을지 함께 생각해볼까요?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그는 새로운 피조물입니다. (고후 5:17, 새번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