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호 예술, 구원을 묻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평화이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유대 사람과 이방 사람이 양쪽으로 갈라져 있는 것을 하나로 만드신 분이십니다. 그분은 유대 사람과 이방 사람 사이를 가르는 담을 자기 몸으로 허무셔서, 원수 된 것을 없애시고, (엡 2:14, 새번역)

워크온워터, 포티데이즈앤드나잇, 쓰리와이즈맨, 브레드오브라이프.

우리말로 옮기면, ‘물 위를 걷다’ ‘40일의 낮과 밤’ ‘세 명의 동방박사’ ‘생명의 떡’인데요. 다 복음서와 관련한 이야기니까 찬양이나 경건 서적 제목인가 싶지만, 아닙니다. 힌트를 드리면요. 베들레헴이나 갈릴리바다가 아니라 미국의 텍사스 오스틴에 가면 만날 수 있는 겁니다. 놀라지 마세요. 다름 아닌 맥주 이름입니다. 이 경건한 맥주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은 주유소를 개조한 생맥줏집인 나사로 브루잉(Lazarus Brewing), 주인장은 ‘커피, 맥주, 사람들과 사랑에 빠진’ 몬태나 출신의 장로교 목사이지요. 처음에는 칼뱅주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이중예정설IPA 같은 맥주도 있었다고 합니다. 제가 가장 마셔보고 싶은 맥주는 브레드오브라이프인데요. 캐러멜, 초콜릿, 토피 풍미가 나는 알코올 도수 8.5%의 아주 진한 독일식 라거인 도펠복(doppelbock)입니다. 16세기 독일 바이에른 지역 수도사들이 금식 기간에 음식 대신 마셨던 일명 ‘액체 빵’이라 불리던 맥주라고 합니다.

복음서와 맥주.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세계가, 죽었다 살아난 나사로의 지붕 아래 만났습니다. 위로는 틀에 매이지 않는 상상력, 아래로는 땅 위의 삶에 대한 긍정, 앞으로는 세상을 향해 열린 마음, 뒤로는 전통에 대한 기억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낸 유쾌한 도발이 아닐 수 없지요. 이 위트 넘치는 나사로의 생맥줏집에서는 한 달에 한 번 영성과 문화가 어우러진 아주 특별한 행사가 열리는데요. 로고스 포에트리 콜렉티브(Logos Poetry Collective)라는 기독교 예전 형식의 시 낭독회입니다. 이 새로운 시도를 이끄는 성공회 사제이자 시인인 트라비스 헴스는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가 정말로 추구하는 것은 상상력을 통한 커넥션, 친교입니다. 상상력은 단지 창조성의 수단일 뿐 아니라, 소망과 공감을 위한 능력이기도 합니다. … 우리는 이 상상력을 통해 우리 중 누구든 경험을 해석하는 단 하나의 정확한 렌즈를 소유하고 있다는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다른 이들의 보는 방식에 보다 온전히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되지요.1)

1세기 유대 사회에서 유대인과 이방인의 경계는 아무도 의심하지 않던 불문율이었을 겁니다. 바벨론 포로기의 혹독한 역사적 경험을 지나온 그들에게 ‘거룩한 하나님의 백성’ 정체성을 지키는 그 경계는 결코 타협할 수 없는 마지노선이자 사회적 번영의 신학적 근간이었지요. 문제는 거룩하고 구별된 삶의 지표로 기능해야 할 경계가, 배제와 차별, 폭력의 근거로 작동했다는 데 있습니다.

예수님은 모두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던 그 위계와 차별의 담을 자기 몸으로 허무셨습니다. 거룩한 것과 속된 것, 경건한 것과 경건하지 않은 것을 나누던 기존 질서가 예수님 안에서 전복된 셈입니다. 비로소 하나님의 구원이 담을 넘어, 온 세상과 모든 사람에게로 흘러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담을 허무신 예수님을 우리의 평화, 우리의 구원이라 고백합니다. 그러나 담 없는 세상의 평화란 상상조차 할 수 없던 이들에게, 예수님은 그저 안전과 질서를 무너뜨리는 의심스럽고 위험한 존재일 뿐이었지요.

21세기에도 여전히 세상은 배제와 폭력의 논리가 지배하는 온갖 담으로 가득합니다. 나와 이웃을 가르는 벽, 나와 타자를 구분하는 경계, 나라와 나라를 가로막는 국경이 우리의 안전과 번영을 지켜주는 우리의 구원이라 합니다. 주변을 돌아보면 한국 사회뿐 아니라 전 세계가 안전과 번영은커녕 점점 갈등과 대립의 늪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불안이 조장하는 불신과 적대감이 우리의 정신세계와 우리가 숨 쉬는 사회의 온 공기를 가득 채운 이때, 다시 한번 고개를 돌려 우리의 평화이신 예수님을 바라봅니다. 창조주와 피조물의 경계마저 뛰어넘는 성육신의 신비로 우리에게 오신 예수님, 사람과 사람을 가르던 오랜 담을 자기 몸으로 허물고 구원이 사방팔방으로 자유롭게 흘러가게 하신 예수님을 말입니다. 어느 때보다 평화를 향한 갈망이 깊어지는 시절, 예수님이 드러내신 평화와 구원의 실재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헴스의 말처럼 소망과 공감의 능력으로 작동하는 상상력이 무엇보다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벽을 허무는 예술적 상상력

신학자이자 문화 연구가인 데븐 앱츠는 ‘우상을 꿰뚫어보다: 국경에서 만나는 예술과 상상력’(Seeing Through Idols: Art and Imagination at the Border)이라는 글에서 최근 몇십 년간 세계 곳곳에서 국경 장벽이 강화되는 현상에 주목합니다.2)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가르는 분리 장벽과 트럼프 정부의 미국-멕시코 국경 장벽이 대표적인 예일 텐데요. 앱츠는 근대 식민주의(colonialism)의 분리주의 정신을 그대로 담은 이러한 장벽이 이방인이나 이질 집단에 대한 혐오와 두려움에 근거하여 나와 타자를 분리하고 싶어 하는 왜곡된 갈망을 투영한다고 말합니다. 하나님께만 있는 구원의 능력을 분리·안보·통제를 통해 얻을 수 있다고 믿게 한다는 점에서 국경 장벽에 숨어있는 신식민주의의 우상적 성격을 지적하기도 하지요. 더 나아가, 기독교적 가치에 충실한 사회적 관계의 역동성은 결합·소속·연결·친밀성이라는 원칙과 실천이 지배하기에, 분리주의 정신에 의해 유지되는 식민주의 사회 비전과는 결코 양립할 수 없다고 역설합니다.

특히 앱츠는 신식민주의의 우상과 거짓 평화에 맞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예술가들의 특별한 능력에 주목합니다. 수많은 예술가와 그들의 작품이 예술 특유의 방식으로, 안전과 평화를 내세운 국경 안에 숨어있는 폭력과 배제의 논리를 드러낸다는 말입니다. 나아가, 그 견고한 장벽 너머의 세상을 내다볼 수 있는 새로운 상상력을 일깨워주기도 합니다. 거침없이 벽을 허무는 예술가들과 그들의 예술적 상상력은 어떤 면에서 급진성을 담보하기에 많은 사람에게 불편하고 위험하게 보일 수도 있는데요. 그렇지만 저는 어쩐지 이 예술가들이야말로 예수님을 닮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팍스로마나(Pox Romana)가 가져다주는 안정과 질서에 익숙한 우리를 일깨우기 위해서는 예술가들의 유쾌한 전복과 반란, 틀을 깨는 상상력이 꼭 필요한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우리를 가르고 나누는 수많은 종류의 벽과 담, 경계를 소재로 한 다양한 동시대 미술 작품을 통해, 막힌 담을 허물고 갈라져있던 것을 하나로 만드신 예수님을 따라 이 시대의 참된 평화의 길을 함께 고민해보려 합니다.

너와 나를 가르는 죽음의 경계

이전 글(411호)에서도 소개한 적이 있는 컬럼비아 출신 개념설치미술 작가 도리스 살세도는 2007년 런던 테이트 모던 미술관 입구의 거대한 전시 공간인 터바인 홀(Turbine Hall) 바닥에 깊은 균열을 만들고 〈십볼렛(Shibboleth)〉이라는 제목을 붙입니다. 바닥에 난 균열이 작품이냐며 의아해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전시장 바닥을 가로지르는 균열은 그 자체로 하나의 시각적 메타포입니다. 관객이 그것을 보고, 건너고, 경험하는 모든 과정이 작품의 일부가 되는 셈이지요. 예술이란 단순히 눈을 즐겁게 해주는 완결된 형태의 시각적 대상이 아니라, 공간 속에서 관객의 움직임을 요구하고 반응을 유도하는 과정 자체일 수 있다는 개념미술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관객의 경험과 참여가 작품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가 되지요. 이는 작품을 완성된 결과물이 아니라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프랑스의 유명한 큐레이터이자 미술 비평가인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의 미학’(relational aesthetics) 개념과 연결됩니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평화이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유대 사람과 이방 사람이 양쪽으로 갈라져 있는 것을 하나로 만드신 분이십니다. 그분은 유대 사람과 이방 사람 사이를 가르는 담을 자기 몸으로 허무셔서, 원수 된 것을 없애시고, (엡 2:14, 새번역)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