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호 20세기, 한국, 기독교]
김재준(1901-1987)과 박형룡(1897-1978)은 일제강점기 후반부터 20세기 말에 이르는 한국기독교, 특히 장로교회의 진보와 보수 진영을 각각 대표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있다. 1880년대에 입국한 서양 선교사들의 선교로 시작된 한국 장로교회는 희년을 맞이한 1930년대 이전까지 신학과 사상에서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주로 영어권 출신 서양 선교사들이 평양신학교에서 전수한 단색의 전통 신학이 별 긴장이나 갈등 없이 정통이자 유일한 진리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1920년대와 1930년대에 2세대 지성적 신학생이 일본·미국 등지의 신학교와 대학에서 유학한 후 귀국하면서, 선교사의 영향력을 넘어, 한국인 신학자가 교회와 사회, 세상에 대한 해석을 주도하는 새 시대가 찾아왔다. 단색이었던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과 실천이 이들의 활동을 통해 1930년대부터 다채로운 빛깔로 채색되기 시작했다. 무지개가 뚜렷한 선으로 구분된 일곱 가지 색깔의 조합이 아닌 것처럼, 이 신진 신학자들과 추종 집단의 색깔도 언제나 명확한 선으로 다른 집단과 구별된 것은 아니다.
관련기사
- 박윤선: ‘우리에게 있는 나다나엘’
- 박형룡: 한국 장로교 보수 신학계의 ‘지로적(指路的) 신학자’
- 김활란: 한국 근대 여성 기독 지식인의 초상
- 이명직: 한국성결교회의 ‘사부’
- 이승만: 기독교 국가 건설의 이상과 현실, 그 간극
- 양주삼: 초대 총리사를 역임한 해방 전 한국 감리교회의 대표자
- 윤치호: 구한말·일제강점기 “애국과 매국 사이에서” 번뇌한 고단한 양심
- 길선주: 가장 한국적인 대중 장로교 신앙을 창시하다
- 한경직: 사이에서, 중용, 화해, 조화의 길을 찾다
- 한상동: 고려파 전통을 빚어낸 출옥 성도, 산증인
- 김교신: 세속 성자, 조선산 생(生)의 기독교를 살아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