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호 커버스토리]

ⓒ복음과상황 정민호
ⓒ복음과상황 정민호

교회란 무엇인가? 그리고 이 질문이 왜 지금 다시 필요한가? 두 가지 질문이 이 글을 쓰면서 머릿속을 맴돌았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서 개신교인 이미지가 천주교인, 불교인에 비해 상당히 부정적으로 나왔다고 소개한 기사를 접하였다. 한국교회의 공공성 위기에 대한 문제의식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최근 코로나19 방역 정국에서 보여준 ‘일부’ 한국교회의 모습은 국민의 건강과 방역이라는 공동선을 훼손하는 이기적이고 비상식적인 것이었다. 한국교회의 집단감염 사례가 반복되면서 국민 여론은 점차 코로나19 집단감염의 장기화에 대한 책임을 기독교에 전가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현상은 ‘기독교 혐오’1)라는 다소 과격한 표현으로 언론에 등장했다. 이를 반(anti)기독교 현상의 연장선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필자는 코로나19 정국에서 유독 부각된 현상으로 보고 있다. 과거 반기독교적 주장의 논지가 일부 교회나 목회자의 개별적 일탈 정도로 인식되었다면, 최근 ‘기독교 혐오’ 논란의 핵심은 한국교회는 어째서 비상식적인 ‘일부 교회’의 일탈을 통제하지 못하느냐는 구조적 차원에서의 문제제기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최근 증가하는 ‘공교회’(公敎會)에 대한 관심과 재조명의 필요를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공교회’와 ‘공공성’을 주제로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