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호 메멘토 0416] ‘2014.4.16.’을 두 번째 맞는 세월호 엄마들

   
▲ 경기도 교육청 앞에서 피켓을 들고 있는 고 유예은 양의 이모 박명선 씨 뒷모습. ⓒ복음과상황 이범진

세월호 참사 후 해를 두 번 넘긴다. 700일이 넘는 동안 우리 사회는 조금이라도 바뀌었을까? 

진상규명을 위해 제정한 세월호 특별법 관련 상황부터 우선 짚어 보면, 지난 2월 임시국회 회기 종료로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가 국회에 요청한 특별검사 임명 요청안이 (대통령의 애초 약속과는 달리) 사실상 무산됐다. 더불어 세월호 진상규명의 열쇠가 될 수 있는 선체 인양은 빨라도 7월말에야 가능한데, 정부는 특조위 예산을 6월말까지만 배정했다. 특조위 예산을 특별법이 시행된 시기(2015년 1월)보다 훨씬 늦게 배정해놓고도, 정작 활동 기간은 특별법 시행일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특조위 활동 기간이 당초 정한 1년 6개월에 훨씬 못 미치는 상황이 돼버린 셈이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세월호 참사를 사회적으로 기억하는 일도 녹록치 않다. 안산 단원고등학교의 개학 시기에 즈음해서는 현재 열 개의 ‘기억교실’ 존치를 두고 희생자 학부모들과 다른 학부모들 간 갈등이 빚어지는 상황이 언론을 통해 부각됐었다. 재학생들이 열악한 교육환경에 내몰리는 원인이 곧 기억교실 때문인 것처럼 떠드는 다수 언론사의 보도 행태는 사회적 참사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개인의 문제로만 돌리는 프레임이었다. 누구든 이런 보도를 접하다 보면 기억교실 존치가 마치 유가족들의 이기심과 연동된 개인의 문제쯤으로 여기게 되는 것은 자연스럽다. 

사실 희생자 학부모들은 이미 작년 여름방학 이후로 기억교실 존치에 대한 토론 제안을 경기도교육청에 지속적으로 해왔으나, 오히려 교육청이 성의 있게 나서지 않았다고 했다. 세월호 희생자 부모들과 재학생 부모들 사이 갈등은 더 심화될 수밖에 없었다. 뒤늦게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가 중재하고 경기도교육청이 기억교실 협의 테이블에 함께 앉았지만, 단원고 희생자 부모들은 더 구체적인 대책이 나올 때까지 (작년 중순 이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해오던) 피켓 시위를 이어간다. 

세월호 2주기를 앞둔 지난 3월 초 경기도교육청 앞의 피켓 시위 현장을 찾아가 고 유예은 양의 어머니 박은희 씨(45, 안산 화정교회 전도사)를 만났다. (본지 302호[2016년 1월호]에 박 전도사의 편지글 “세월호유가족행전은 계속됩니다, 주님과 함께”가 실렸다.) 더불어 ‘세월호 엄마들’의 걸음을 따라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였다.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관련기사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