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호 곱씹어 보는 영화]
시인은 부끄럽다고 했다
식민시대, 비교적 넉넉한 육첩방에 기거하고 있어서 부끄럽고, 남의 나라에서 남의 나라 이름으로 공부하고 있어서 부끄럽고, 살기 어려운 세상에 시가 쉽게 쓰여져서, 이 와중에 시를 쓰겠다고 앉아 있어서, 시인은 부끄럽다고 했다(“쉽게 쓰여진 시”, 윤동주).
부끄러움을 모르는 것이야말로 진짜 부끄러운 거라고 스승(정지용)의 입을 빌어 위로해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의 부끄러움이 쉬이 가시지는 않는다. 시 쓰는 마알간 청년의 부끄러움에 물든 나의 부끄러움도 그렇다. 지난 해 〈암살〉과 〈베테랑〉이 그랬듯, 2016년 한국영화는 여전히 미안하고(〈귀향〉), 화나고(〈검사외전〉〈내부자들〉), 이제는 부끄럽다(〈동주〉).
관련기사
- 내부를 욕망한 주변인들의 세계
- ‘喪’이 가져다준 ‘賞’
- 그래도 세상은 ‘또라이들’의 열정이 바꾼다
- 모든 ‘잃어버린 것들’이 돌아오는 꿈
- 완벽한 판타지의 세계
- 영화는 왜 ‘기억’에 집착하는가?
- 뒤죽박죽이어도 괜찮아!: <꾸뻬씨의 행복여행>
- 상대성의 세계에서 절대적인 것을 말하기: <인터스텔라>
- 상식의 저항에 저항하라: <제보자>
- 이야기가 연주되는 영화: <비긴 어게인>
- 우리에게 지킬 나라가 있었던가?
- 나는 누군가에게 좋은 친구인가?
- 그의 성장, '그녀'의 진화: : 스파이크 존즈 감독의 <그녀>
- 다시 불태워야 할 것은 ‘로맨스’만이 아니다
- 난생 ‘처음 듣는’ 노아 이야기: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노아>
- 타인의 고통과 연민, 그리고 복음
- 영화로 울리는 '신문고' <또 하나의 약속>
- '비정상의 정상화'란 이런 것
- '정치적인 삶'으로의 초청
- 그녀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방식
- 욕망의 창백한 얼굴
- 추상화된 '공간'의 폭력과 공포
- 봉준호의 ‘한국열차’(?)를 보고 싶다
- <버니>는 블랙 코미디다, 이 세상도 그렇다
- 죽거나 혹은 아프거나
- “나는 아이언맨이다”
- '그들'의 미친 사랑이 반가운 이유
- “신세계”와 “스토커”의 잔혹함
- "라이프 오브 파이"가 말하는 믿음과 다원성
- 기억으로 완성되는 영화 <26년>
- 원초적 고향으로 가는 시간, 윤동주 ‘봄’
- 윤동주의 <별 헤는 밤>과 레비나스의 타자
최은 영화연구가
goscon@goscon.co.kr
